Search
🏫

[이산수학] 1. 논리

Tags
CS
Discrete Mathematics
Last edited time
2024/12/23 03:25
2 more properties
Search
[이산수학] 1. 논리
CS
Discrete Mathematics
2024/12/06 13:39
[이산수학] 1. 논리
CS
Discrete Mathematics
2024/12/06 13:39

1. 명제

1.1. 명제의 정의

명제(Proposition)
참과 거짓을 구별할 수 있는 문장이나 수학적 식
진리값
참(True, T)
거짓(False, F)

1.2. 명제의 종류

합성명제 (Compound Proposition): 하나 이상의 명제와 논리연산자(∨, ∧ 등)를 포함
조건명제 (Conditional Proposition): "𝑝 → 𝑞" 형태로 나타내며, 𝑝가 참이면 𝑞도 참
쌍조건명제 (Bi-Conditional Proposition): "𝑝 𝑞" 형태로 나타내며, 𝑝와 𝑞가 같은 진리값을 가질 때 참
항진명제 (Tautology): 항상 참인 명제
모순명제 (Contradiction): 항상 거짓인 명제

1.3. 예시

1.3.1. 명제

"6은 2의 배수다" → 명제 (참).
"철수는 공부를 잘 한다" → 명제가 아님 (평가 기준에 따라 다름).
"2 + 3 = 7" → 명제 (거짓).
"𝑥 + 2 = 0" → 명제가 아님 (𝑥 값에 따라 달라짐).

1.3.2. 명제의 진리값

"2, 3, 6는 소수이다" → 명제 (거짓).
6은 소수가 아니기 때문에 명제 전체가 거짓
"소수의 개수는 무한하다" → 명제 (참)
"126 = 2⁶" → 명제 (거짓)
2⁶ = 64로, 126과 같지 않음
"지구에서 가장 높은 산은 에베레스트이다" → 명제 (참)

2. 논리연산

2.1. 논리연산자

논리연산은 명제를 조합하여 새로운 명제를 만드는 연산
연산자 종류
논리합 / 논리곱 / 부정 / 배타적 논리합
합성 명제
하나 이상의 명제와 논리연산자 그리고 괄호로 이루어진 명제

2.1.1. 논리합 (∨)

𝑝 ∨ 𝑞
의미: "또는 (OR)" 연산으로, 두 명제 중 하나라도 참이면 결과가 참
진리표
𝑝
𝑞
𝑝 ∨ 𝑞
T
T
T
T
F
T
F
T
T
F
F
F

2.1.2. 논리곱 (∧)

𝑝 ∧ 𝑞
의미: "그리고 (AND)" 연산으로, 두 명제가 모두 참일 때 결과가 참
진리표
𝑝
𝑞
𝑝 ∧ 𝑞
T
T
T
T
F
F
F
T
F
F
F
F

2.1.3. 부정 (~)

의미: 명제의 진리값을 반대로 만듦
예: "~𝑝"은 명제 𝑝가 참이면 거짓, 거짓이면 참
진리표
𝑝
~𝑝
T
F
F
T

2.1.4. 배타적 논리합 (xor, ⊕)

𝑝 ⊕ 𝑞
의미: 두 명제가 서로 다를 때만 참
예: "오늘은 비가 온다 ⊕ 바람이 분다"는 두 명제의 진리값이 다를 때 참
진리표
𝑝
𝑞
𝑝 ⊕ 𝑞
T
T
F
T
F
T
F
T
T
F
F
F
예시 문제: 합성명제 (𝑝 ∧ 𝑞) ∨ (𝑝 ⊕ 𝑞) 진리표를 작성하라
𝑝
𝑞
𝑝 ∧ 𝑞
𝑝 ⊕ 𝑞
(𝑝 ∧ 𝑞) ∨ (𝑝 ⊕ 𝑞)
T
T
T
F
T
T
F
F
T
T
F
T
F
T
T
F
F
F
F
F

2.2. 조건 명제

2.2.1. 조건 명제 정의

"𝑝 → 𝑞"로 표시되며, 이는 "𝑝라면 𝑞이다"라는 의미
구성 요소
𝑝: 조건 (Antecedent, 선행 조건)
𝑞: 결과 (Consequent, 후행 조건)
𝑝 는 𝑞의 충분조건 → 𝑝가 참이면 반드시 𝑞도 참
𝑞 는 𝑝의 필요조건 → 𝑞가 거짓이면 반드시 𝑝도 거짓

2.2.2. 조건 명제의 진리표

조건 𝑝가 거짓인 경우, 결과와 상관없이 전체 조건 명제가 참이 됨
조건 𝑝가 참이고 결과 𝑞가 거짓인 경우, 조건 명제가 거짓이 됨
𝑝
𝑞
𝑝 → 𝑞
T
T
T
T
F
F
F
T
T
F
F
T

2.2.3. 예제

명제: "1 + 2 = 3이면 10 - 2 = 8이다"
𝑝: "1 + 2 = 3" (참)
𝑞: "10 - 2 = 8" (참)
결과: 조건 명제 "𝑝 → 𝑞"는 참
명제: "1 + 2 = 3이면 10 - 2 = 7이다"
𝑝: "1 + 2 = 3" (참)
𝑞: "10 - 2 = 7" (거짓)
결과: 조건 명제 "𝑝 → 𝑞"는 거짓

2.2.4. 쌍조건 명제

정의: "𝑝 𝑞"로 표시되며, "𝑝라면 𝑞이고, 𝑞라면 𝑝이다"를 의미
진리표
𝑝
𝑞
𝑝 𝑞
T
T
T
T
F
F
F
T
F
F
F
T
예제
1.
명제 1: 사람이 살아 있다 사람이 호흡을 한다
𝑝: "사람이 살아 있다" → 참 (T)
𝑞: "사람이 호흡을 한다" → 참 (T)
결과: 𝑝 𝑞 = 참 (T)
이유: 두 명제가 모두 참이므로, 쌍조건명제는 참
2.
명제 2: 1+2=9 1×2=9
𝑝: 1+2=9 → 거짓 (F)
𝑞: 1×2=9 → 거짓 (F)
결과: 𝑝 𝑞 = 참 (T)
이유: 두 명제가 모두 거짓이므로, 쌍조건명제는 참

2.3 동치

2.3.1. 논리적 동치의 정의

논리적 동치 (Logical Equivalence)
두 명제 𝑝와 𝑞가 항상 동일한 진리값을 가지면, 두 명제는 논리적으로 동치라 하며, "𝑝 ≡ 𝑞"로 표시
논리적으로 동등하다는 말은, 두 명제가 항상 동일한 진리 값을 가진다는 의미
역 / 이 / 대우
역 (Converse): "𝑞 → 𝑝"
이 (Inverse): "~𝑝 → ~𝑞"
대우 (Contrapositive): "~𝑞 → ~𝑝"

2.3.2. 동치의 주요 특징

1.
논리적 동치는 진리표를 통해 검증 가능
2.
동치 명제는 서로 대체 가능하며, 논리적 증명에서 자주 사용됨
3.
논리적 동치는 항상 참인 명제(항진명제)로 표현될 수 있음

2.3.3. 동치의 응용

1.
조건 명제의 동치 변환
𝑝 → 𝑞 ≡ 𝑝∨𝑞
조건 명제를 "부정과 논리합"으로 표현 가능
예: "비가 오면 땅이 젖는다" → "비가 오지 않거나 땅이 젖는다"
2.
대우의 동치
𝑝 → 𝑞 ≡ ~𝑞→ ~𝑝
조건 명제는 항상 그 대우와 동치임
예: "비가 오면 땅이 젖는다" "땅이 젖지 않으면 비가 오지 않는다"

2.3.4. 논리적 동치 법칙

1.
교환법칙 (Commutation Law)
𝑝 ∨ 𝑞 ≡ 𝑞 ∨ 𝑝
𝑝 ∧ 𝑞 ≡𝑞 ∧ 𝑝
예: "A 또는 B" "B 또는 A"
2.
결합법칙 (Associative Law)
(𝑝∨𝑞)∨𝑟 ≡ 𝑝∨(𝑞∨𝑟)
(𝑝∧𝑞)∧𝑟 ≡ 𝑝∧(𝑞∧𝑟)
3.
분배법칙 (Distributive Law)
𝑝∨(𝑞∧𝑟) ≡ (𝑝∨𝑞)∧(𝑝∨𝑟)
𝑝∧(𝑞∨𝑟) ≡ (𝑝∧𝑞)∨(𝑝∧𝑟)
4.
항등법칙 (Identity Law)
𝑝∨F ≡ 𝑝
𝑝∧T ≡ 𝑝
5.
지배법칙 (Domination Law)
𝑝∨T ≡ T
𝑝∧F ≡ F
6.
부정법칙 (Negation Law)
𝑝∨(~𝑝) ≡ T
𝑝∧(~𝑝) ≡ F
7.
이중부정법칙 (Double Negation Law)
~(~ 𝑝) ≡ 𝑝
8.
멱등법칙 (Idempotent Law)
𝑝∨𝑝 ≡ 𝑝
𝑝∧𝑝 ≡ 𝑝
9.
드 모르간 법칙 (De Morgan’s Law)
~(𝑝∨𝑞) ≡ (~𝑝)∧ (~𝑞)
~(𝑝∧𝑞) ≡ (~𝑝)∨ (~𝑞)
10.
흡수법칙 (Absorption Law)
𝑝∨(𝑝∧𝑞) ≡ 𝑝
𝑝∧(𝑝∨𝑞) ≡ 𝑝
11.
함축법칙 (Implication Law)
𝑝→𝑞 ≡ ~𝑝∨𝑞
12.
대우법칙 (Contrapositive Law)
𝑝→𝑞 ≡ ~𝑞 → ~𝑝

2.3.5. 예제: 드 모르간 법칙을 사용한 명제의 부정

다음 식의 부정을 드 모르간 법칙을 사용하여 나타내시오
식: -2 < 𝑥 < 3
풀이
1.
원래 명제의 의미
−2 < 𝑥 ∧ 𝑥 < 3
2.
명제의 부정
~(−2 < 𝑥 ∧ 𝑥 < 3)
3.
드 모르간 법칙 적용
∼(𝑝∧𝑞) ≡ (∼𝑝∨∼𝑞)
이를 적용하면
~(−2 < 𝑥 ∧ 𝑥 < 3) ≡ (∼(−2 < x)∨∼( x < 3))
4.
부정 연산 계산
∼(−2 < x) → −2 ≤ x
∼( x < 3) → x ≥ 3
따라서 부정된 식은
𝑥 ≤−2∨𝑥 ≥ 3

2.3.6. 항진명제와 모순명제

항진명제 (Tautology)
정의: 항상 참(True)인 명제
합성명제를 구성하는 개별 명제의 진리값과 관계없이 항상 참인 명제를 의미
예: 𝑝 ∨∼𝑝
진리표에서 모든 경우에 참으로 나타남
모순명제 (Contradiction)
정의: 항상 거짓(False)인 명제
합성명제를 구성하는 개별 명제의 진리값과 관계없이 항상 거짓인 명제를 의미
예: 𝑝∧∼𝑝
진리표에서 모든 경우에 거짓으로 나타남

3. 술어논리

3.1. 술어논리의 정의

술어논리 (Predicate Logic)
명제논리의 확장으로, 변수와 술어를 사용하여 명제를 표현하는 논리 체계
명제논리와의 차이점
명제논리는 참(True) 또는 거짓(False)으로 평가되는 완전한 문장을 다룸
술어논리는 변수와 이를 포함한 논리적 관계를 포함하며, 변수의 값에 따라 명제가 참 또는 거짓으로 평가

3.2. 술어논리와 명제 함수

3.2.1. 명제함수

변수의 값에 따라 진리값이 결정되는 문장이나 식
변수의 값을 명시적으로 지정
변수의 범위 제시 (한정화)

3.2.2. 전체한정자(∀)

"모든" 또는 "임의의"를 의미
명제 함수 ∀𝑥𝑃(𝑥)와 같이 사용된 경우, 정의역의 모든[임의의] x에 대하여 𝑃(𝑥)가 참(T)임을 의미
예시)
𝑃(𝑥)가 𝑥는 실수이고 𝑥의 정의역이 양수인 경우 ∀𝑥𝑃(𝑥)는 참이다.
𝑃(𝑥)가 𝑥^2 + 𝑥 - 2 > 0이고, 𝑥의 정의역이 실수인 경우 ∀𝑥𝑃(𝑥)는 거짓이다.
-2와 1 사이의 값이 들어가면 음수가 됨

3.2.3. 존재한정자 (∃)

"존재한다"를 의미
명제 함수 ∃𝑥𝑃(𝑥)와 같이 사용된 경우, 정의역의 어떤 x에 대하여 𝑃(𝑥)가 참(T)임을 의미
예시)
𝑃(𝑥)가 𝑥는 무리수이고 𝑥의 정의역이 유리수인 경우 ∃𝑥𝑃(𝑥)는 거짓이다.

3.3. 타당성 검사

명제함수에 사용된 한정자(전체한정자, 존재한정자)에 따라 명제의 참/거짓 여부를 직관적으로 판단하거나 증명하는 과정
벤 다이어그램을 사용한 직관적 분석:
정의역과 술어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판단
예: "모든 평행사변형은 사각형이다"를 평행사변형 집합이 사각형 집합에 포함된 관계로 표현
예제: 삼단논법을 활용한 타당성 검사
전제: "영희는 서울에 있다", "서울은 한국에 있다"
결론: "영희는 한국에 있다"
타당성 검사: 전제가 참인 경우, 결론도 참이므로 논증이 타당

3.4 추론

참으로 알려진 명제를 기초로 새로운 명제를 도출하는 과정
구성 요소
전제 (Premise): 결론의 근거가 되는 명제
결론 (Conclusion): 전제를 기반으로 도출된 명제
유효 추론
전제가 참이라고 가정했을 때 결론이 항상 참이 되는 추론
삼단 논법
추론 규칙
논리적 동치(항진명제)를 이용함